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경제

주식일기 5일차 2월 첫 날에 도서관에서 대출을 받았다.사실 하루 밀려서 안될 줄 알았는데 된다길래신나는 마음으로 도서관에서 주식책을 찾았다.원래부터 보고 싶었던 "주식투자 무작정 따라하기"와그걸 고르면서 하나 집어온 "주식투자 ETF로 시작하라" 2권을 골랐다.원래 읽고 싶었던 책인 "주식투자 무작정 따라하기"는 지금은 주식에 대해서 좀 아니까, 너무 기초만 다룬거 같아 나에게 맞지 않음을 느꼈다. 내가 주식에 처음 손에 댄 1월에 시작했음 좋았던 책이였을텐데 아쉬움이 가득하다.주식투자 ETF는 ETF를 주로 다루고 있긴 하지만실제 주식 실전과 관련된 투자 전략도 설명하고 있었다. 거기서 단타와 관련한 것도 배워서,한번 단타를 해볼까 하는 호기심에 단타를 시작해봤다.사실 단타는 상승세에서의 이득을 크게 못 본다는 점.. 더보기
주식에서 수익률 올리는데 가장 중요한것이 뭘까? 반갑습니다. 하이퍼체스입니다.이번 글에서는 주식에서 수익률이 올리는 가장 중요한 것을 알아보겠습니다.   주식 수익률을 올리기 위해 필요한 것이 뭐라고 생각되시나요?수입이 무조건 많이 오르는 주식에 투자하는 것? 물론 수익률도 중요하지만, 제일 중요한게 빠졌습니다.결론적으로 주식투자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수익률이 아닌,바로 주식 투자를 할 때의 손실을 줄이는 겁니다. 일부는 이렇게 말할 수 있습니다.손실 40% 이렇게 봐도, 주가가 100% 오르면 60% 오르니까,결국에는 수익이 크게 나는거 아니냐고요. 하지만, 그건 명백한 착각입니다.손실은 숫자로 보이는 것 보다 메꾸는데 필요한 수익률이훨씬 더 큽니다. 왜 그런지 한번 보죠.  주식은 복리로 움직인다 https://hyperchess1.tistory... 더보기
한 사람의 인생을 나락이나 극락으로 만들 수 있다? 복리에 대해 알아보자! 반갑습니다. 하이퍼체스입니다.이번 글에서는 금융지식에서 굉장히 중요한복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영화나 드라마 등에서 빌린 돈을 갚지 못한 주인공의 집에건달 같은 사람이 들어와서 집에 빨간딱지를 붙히는 걸 보신 적 있을 겁니다.(물론 실제로는 건달 같은 사람이 아닌, 공무원이 담당합니다) 실제로 빌린 돈의 무서운 점은 처음에는 쥐꼬리만한 이자가 붙지만,시간이 오래 지날수록 그 이자는 걷잡을 수 없이 커져서, 사람 하나의 인생을완전히 나락으로 보내버리기도 하죠. 왜 작았던 이자가 점점 커지는 걸까요?이번 글에서는 경제상식에서 기초적인 부분 복리에 대해 알아봅시다. 복리 VS 단리 무슨 차이?  일단 복리의 뜻과, 복리와 연결되는 단리의 뜻을 알아봅시다.복리의 복은 돌아올 복(復)자인데, 쉽게 말해 .. 더보기
주식일기 4일차 예수금이 엄청 들어왔다.설날 때문에 묶여있던 약 300만원 가량의 예수금이 들어왔다. 그래서 그 예수금을 다 투자했다.코카콜라에 8주, 화이자에 10주를 추가로 샀다.이번에는 ETF에도 투자했다. S&P 500 1주, SCHD 11주를 샀다.S&P 500이란, 미국 내 시총 1~500등 안에 드는 기업들을 전부 포함하는 ETF다. 즉, 미국의 우량주들 500개에 전부 투자한거다.S&P 500은 VOO로 해외꺼로 샀는데, 왜 해외껄 샀냐면, 국내꺼 중에서 "총 보수"랍시고 수수료를 속여서 떼어내는 사기꾼들이 너무 많기 때문이다. 아무튼 그래서 S&P 500을 VOO꺼를 사고, 시스코냐 SCHD냐를 고민하다 결국 SCHD에 투자했다.S&P 500 ETF은 우량주들을 사들이는 ETF라면,SCHD ETF는 배당.. 더보기
왜 금을 사람들이 사들일까? 금에 투자할 때의 장점과 단점 반갑습니다. 하이퍼체스입니다.이번 글에서는 금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실제로 중국의 인민은행에서 금을 2년 전부터 엄청나게 많이 사들였죠?그래서 금 가격이 2022년 11월 부터 지금까지 금 값이 엄청 많이 올랐습니다.  다음을 보면 아시겠지만, 금 시세는 2022년 후반부터 엄청 많이 올랐죠.금이 중국 인민은행이 22년 11월 사기 시작했을 때 부터 지금까지 엄청 올랐죠.순금 한돈(3.75g)에 30만원 조금 넘던 상황에서55만원을 넘겼을 정도이니, 중국에서 금을 엄청나게 많이 사들인 겁니다. 하지만 중국 같은 국가, 또는 은행 단위 뿐만 아니라, 국가와 은행과 큰 관련 없는 사람들도 금에 투자하기도 합니다.금 ETF로도 하기도 하고, 일부는 실물로 금을 사기도 하죠.금은 단순히 자연의 여러.. 더보기
국장에 투자하면 안된다? 국내 기업의 전매특허 기술 물적 분할에 대해 알아보자! 반갑습니다. 하이퍼체스입니다.이번 글에서는 국장 기업의 전매특허 기술 물적 분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트랜스포머나, 드래곤볼 퓨전처럼, 기업은 분리될 수도 있고, 합체될 수도 있습니다.이 중에서 기업이 분리되는 경우에 있어서, 2가지로 나뉘는데,바로 인적 분할과, 이번 글에서의 핵심 주제인 물적 분할이 있습니다.이 2가지에 대해서 알아볼 겁니다. 인적 분할과 물적 분할? 한 기업에서 여러개의 산업을 하고 있을 때, 한 산업이 잘 된다면,그 기업에서 잘 나가는 산업을 똑 떼어다가 새로운 자회사를 만드는 걸 기업에서 분할이라고 합니다. 여기서 수평적으로, 그러니까 그 신설 법인의 지분을투자자에게도 나눠주는 걸 바로 인적 분할이라고 하고요. 이걸 수직적으로 나눠서 100% 그 기업의 자회사로 만들.. 더보기
[배당투자 5편] 배당주에서 기타적으로 봐야 할 것, 대리인 비용과 경영진 반갑습니다. 하이퍼체스입니다.이번 글로 배당주 투자에서 핵심적으로 봐야할 부분은 마지막인거 같은데요.이번 글에서는 대리인 비용과 경영진에 대해서 볼 겁니다.    대리인 비용 중요한 정보가 새어나가지 않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하지만 아무리 안전장치를 해 놔도, 누군가에게 맡긴다면, 내부 정보는 새어나가게 되죠.이런 걸 현대 경영학에서는 대리인 비용(agent cost) 라고 합니다. 한국 주식시장에서 흔한 대리인 비용의 경우에는 주주와 그를 대신해 기업을 운영하는경영자의 이해관계가 서로 어긋나서 그로인해 문제를 해결하는데이런 경영진 비용이 듭니다. 쉽게 말해 "내 맘에 안 든다" 정도 되겠네요. 대리인 비용은 감시비용, 확증비용, 잔여손실로 나뉘는데,감시비용은 일을 맡기는 사람이 감당하는 비용이고,확증.. 더보기
[배당투자 4편] 배당주 투자에서의 경고, 신용잔고와 대비책 달러 반갑습니다. 하이퍼체스입니다.이번 글에서는 배당주 투자에서의 경고 중 하나인신용잔고와 달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민스키 모멘트(Minsky Moment) 라고 해서, 금융시장의 버블 붕괴 시점에 관한 이론이 있습니다.이 이론은 평온한 시장상황 그 자체가 만든 위험상황을 의미합니다. 자산시장이 안정적이고 수익률이 높을 때에는 차입을 통한레버지리 효과(지렛대 효과)로 수익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자산시장에 투자가 늘어나 자산 가격이 더욱 오르면,차입을 통한 투자가 더욱 활성화되어 부채는 더욱 더 증가하고,자연스럽게 자산시장의 거품은 커집니다. 그러다가 그 거품이 어느 순간 한계가 되면 터지게 되면서부채상환 능력이 없는 자산은 처분되고, 자산 가격이 크게 떨어진다는 거죠.이 순간이 바로 민스키.. 더보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