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경제

유가의 상승과 하락이 주식과 연관이 있을까? 반갑습니다. 하이퍼체스입니다.이번 글에서는 유가 변동이 주가와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원유는 현대사회에서 안 쓰이는 곳을 찾기 힘들 정도로 많이 쓰입니다.교통수단인 배, 비행기, 차 등의 연료로도 쓰이고, 여러 생필품, 전기 등을생산하는데에도 원유가 쓰이죠. 원유가 이처럼 현대 사회에서 치트키 역할을 하기 때문에,원유의 가격, 즉 유가에 따라 경제가 좌우되는 것은 당연한 사실이죠.그럼 유가에 따라서 주가는 어떻게 바뀔까요?  유가가 오르면 소비국은 손해, 생산국은 이득유가가 오르냐 내리느냐에 따라서 경제나 주가는 해당 국가가원유 생산국인지, 소비국인지에 따라서 나뉘게 됩니다. 원유를 생산해 돈을 버는 사우디, 러시아, 브라질 같은 국가에서는,유가가 올라가는 것이 이득입니다.그래서 유가가.. 더보기
100만원 넘는 주식이 10만원대 주식보다 싸다고? 주식의 가치를 판단하는 기준 반갑습니다. 하이퍼체스입니다.이번 글에서는 주식의 가격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애널리스트들이 주식을 볼 때, 어느 종목은 비싸다고 말하고, 어느 종목은 비싸다고 말은 안 합니다.근데, 10만 원대 정도의 종목을 비싸다고 하면서, 100만 원대의 종목은 비싸다는 말을 꺼내지 않는이상한 상황이 생기곤 합니다. 주식의 가격은 대체 뭐로 평가하길래 그저 주식 가격 자체만 가지고비싸다 싸다를 평가하는 걸까요? 좋은 주식 기준 1 : 돈을 잘 버는가? ROE와 EPS 좋은 주식의 기준은 당연히 돈을 잘 버는가에 대한 것일 겁니다.이를 판단하는 지표는 바로 자가자본이익률, ROE(Return On Equity)입니다.ROE는 기업에 투자해서 얼마만큼 이익을 버는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예를 들어 20억의 자본으.. 더보기
국가에 투자하는 방법? ETF(상장지수펀드)에 대해서 알아보자 반갑습니다. 하이퍼체스입니다.이번 글에서는 국가에 투자를 하는 ETF(상장지수펀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인터넷이나 주변에 주식을 했다가 망한 사람들을 쉽게 볼 수 있어서사람들은 주식에 손을 대는 것을 꺼리는 경향이 있습니다. 근데, 기업은 망하더라도, 한 국가가 망하는 경우는 거의 없을 겁니다.이런 국가 경제에 투자하는 것이 우리가 배워볼 ETF, 상장지수펀드입니다. ETF는 무엇일까?ETF는 (Exchange Traded Fund)의 약자로, 최소 10종목 이상을 묶어만든 지수를 추종하게 만든 펀드입니다. 즉 주식은 아니긴 합니다. 하지만 펀드임에도 불구하고, 한국거래소를 통해 주식처럼 사고 팔 수 있고,지수의 움직임을 오차없이 따라가야 하는 상품이다 보니 꽤 투명하다는 점이 있습니다... 더보기
왜 주식을 판 돈이 오늘 안 들어올까? 주식 거래의 T+2 시스템 반갑습니다. 하이퍼체스입니다.이번 글에서는 주식 거래의 T+2 시스템에 대해 배워보겠습니다.  주식 거래를 하다가 오늘 주식을 매도를 하고, 돈을 인출하려고 했는데,인출할 수 있는 돈이 없다는 문구가 뜨셔서 당황스러운 경험이 있으실 겁니다.매도를 했는데, 왜 돈을 인출할 수 없는 걸까요?   주식 결제의 기본, T+2 시스템한국에서 주식을 매수하고 매도한 그 시점에서 바로 결제가 되는 형식이 아닙니다.주문한 날에서 2거래일 뒤에 실제 결제가 이루워집니다. 만약 오늘 주식을 매도했다면, 오늘 가격으로 매도가 되긴 하지만,이 매도 금액은 2거래일 뒤에 통장에 들어온 뒤에야 인출이 가능하죠.즉, 주식이 현금으로 바뀌어 내 손에 들어오기까지 이틀이 걸린다는 소리입니다.이를 T+2 시스템이라고 합니다. 다만, 매.. 더보기
비싼 주식을 사는 것이 좋을까? 성장주와 가치주 반갑습니다. 하이퍼체스입니다.이번 글에서는 성장주와 가치주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주식투자를 하다 보면 주가가 엄청 올라도 사야 할지,아니면 더 싼걸 찾을 지 등의 고민을 자주 하게 됩니다.이 안에서 답은 없지만, 선택하는 길에 따라서성장주 투자와 가치주 투자 스타일로 나뉩니다. 워런 버핏의 투자 방법, 가치주 투자가치주란 쉽게 말해 가격이 싼 주식으로, 다른 말로는 '저평가 우량주'라고 합니다.가격이 싸다는 기준은, 기업이 벌고 있는 돈이나 향후 비전을 생각했을 때,지금 주가가 싸다고 판단되는 주식이 여기에 속합니다. 단기적으로 고수익을 안겨주는 주식은 아니기에 단기투자, 일명 단타보다는장기투자(장투)에 조금 더 초점이 맞춰진 주식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그다지 화려하지 않아도 뜯어보면 우량한.. 더보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