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지식 썸네일형 리스트형 자동차는 자산이 아니라 부채이다. 반갑습니다. 하이퍼체스입니다.이번에는 차에 대한 이야기를 해 보겠습니다. 차는 기본적으로 가고 싶은 곳은 어디로든 갈 수 있는 장점을 가집니다.그리고 남자들의 경우에는 멋을 부리기 딱 좋은 수단이기에차를 구매하고자 하는 욕망이 있기도 하죠. 특히 20대의 경우에는 차를 소유하는 경우는 거의 없기 때문에,20대에 차를 가지는 것은 나쁠 것이 없고,좋은 점이 꽤 많은 듯 보입니다. 하지만, 자동차는 명백한 부채이며,부채 중에서도 최악의 부채입니다.20대의 구매한 자동차는 오히려 경제적 자유를 빼앗죠. 심지어 수입에 비해 말도 안되는 금액의 자동차를 구매하며차 자랑을 하러 다니는 "카푸어" 라고 불리는 사람 수준이 아니더라도,차는 20대에는 왠만하면 구매 하지 않는게 더 좋습니다. 왜 그런지 하나하나 알.. 더보기 인생에서 돈을 버는 자산을 구축해야 하는 이유 반갑습니다. 하이퍼체스입니다.이번 글에서는 자산을 구축해야 하는 이유를 알아보겠습니다. 원래 마트나 이런 곳에서 예전에는 2~3000원 주면 살 수 있던 게어느샌가 5000원까지 올랐던 경험은 있을 겁니다. 그리고 원래 식당에서 5000원에 1끼를 해결할 수 있었지만,지금은 이제 1만원을 줘야지 1끼 해결이 가능해지는 상황이 되었죠?도데체 왜 물가가 심하게 오를까요? 물가가 오르는 근본적인 이유 물가가 오르는데에는 여러 이유가 있지만,경제 위기 수준이 아닌데도 계속 정부가 계속 돈을 찍어내기 때문에물가가 오르곤 합니다. 일단 왜 돈을 찍어내는 가장 큰 이유로는 부채 문제 때문입니다.돈을 찍어내면, 국채 금리가 낮아지고, 정부의 이자 부담이 줄어들죠.왜냐하면 금리는 결국 돈의 값인데, 돈이 많아질수록.. 더보기 한 사람의 인생을 나락이나 극락으로 만들 수 있다? 복리에 대해 알아보자! 반갑습니다. 하이퍼체스입니다.이번 글에서는 금융지식에서 굉장히 중요한복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영화나 드라마 등에서 빌린 돈을 갚지 못한 주인공의 집에건달 같은 사람이 들어와서 집에 빨간딱지를 붙히는 걸 보신 적 있을 겁니다.(물론 실제로는 건달 같은 사람이 아닌, 공무원이 담당합니다) 실제로 빌린 돈의 무서운 점은 처음에는 쥐꼬리만한 이자가 붙지만,시간이 오래 지날수록 그 이자는 걷잡을 수 없이 커져서, 사람 하나의 인생을완전히 나락으로 보내버리기도 하죠. 왜 작았던 이자가 점점 커지는 걸까요?이번 글에서는 경제상식에서 기초적인 부분 복리에 대해 알아봅시다. 복리 VS 단리 무슨 차이? 일단 복리의 뜻과, 복리와 연결되는 단리의 뜻을 알아봅시다.복리의 복은 돌아올 복(復)자인데, 쉽게 말해 .. 더보기 저축하면 돈을 오히려 잃는다고? 저축의 진실 반갑습니다. 하이퍼체스입니다.이번 글에서는 저축에 대한 내용을 볼 겁니다. 대부분 "돈을 저축하라" 는 말을 집이나 학교 등에서 한번 쯤 들어봤을 겁니다.미래를 위해서 장기적으로 은행에 돈을 넣으라고 하죠. 하지만, 저축을 하게 되면, 지금 상황에서는 오히려 돈을 잃을 수 있습니다.일본과 유럽처럼 마이너스 금리도 아닌데 무슨 소리냐 하실 수도 있지만,사실 이는 명백한 사실입니다. 저축은 점진적이면서 느리고 확실하게, 점점 더 돈을 잃게 만들게 됩니다. 왜 그럴까요? 저축할 때 이자를 받는 매커니즘저축할 때, 이자를 받는 매커니즘을 설명하자면 이렇습니다.만약 A가 100만원을 은행에 저축한다 하고, B가 100만원을 은행에 대출한다고 보겠습니다. A가 100만원을 저축하게 되면, B와 같이 돈이..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