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금리

[배당투자 3편] 배당주 투자를 할 때 위험성? 거시경제와 금리, 스프레드 반갑습니다. 하이퍼체스입니다.이번 글에서는 배당투 투자를 할 때의 위험성과,그 위험성을 대처하기 위해 알아둬야 할 것을 보겠습니다. 배당주 투자에서 위험성에 대해 알기 위해서는 필요한 게크게 5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거시경제2. 금리, 금리 역전 현상3. 신용스프레드, 장단기 금리 스프레드4. 신용잔고 추이5. 달러 자산 이 중에서 이번 글에서 볼 것은 1,2,3번입니다.4,5번은 다음 글에서 자세히 다뤄볼 생각입니다. 거시경제탑다운 투자 vs 바텀 업 투자 탑다운 투자와 바텀업 투자가 있습니다. 탑다운 투자전략은 경기변동 등의 거시경제를 분석한 뒤,개별 산업과 기업으로 내려가며 분석하여 투자하는 것으로,'하향식 투자' 라고도 불립니다. 반면에 바텀업 투자 전략은 개별 기업에 대해 분석.. 더보기
저축하면 돈을 오히려 잃는다고? 저축의 진실 반갑습니다. 하이퍼체스입니다.이번 글에서는 저축에 대한 내용을 볼 겁니다. 대부분 "돈을 저축하라" 는 말을 집이나 학교 등에서 한번 쯤 들어봤을 겁니다.미래를 위해서 장기적으로 은행에 돈을 넣으라고 하죠. 하지만, 저축을 하게 되면, 지금 상황에서는 오히려 돈을 잃을 수 있습니다.일본과 유럽처럼 마이너스 금리도 아닌데 무슨 소리냐 하실 수도 있지만,사실 이는 명백한 사실입니다. 저축은 점진적이면서 느리고 확실하게, 점점 더 돈을 잃게 만들게 됩니다. 왜 그럴까요? 저축할 때 이자를 받는 매커니즘저축할 때, 이자를 받는 매커니즘을 설명하자면 이렇습니다.만약 A가 100만원을 은행에 저축한다 하고, B가 100만원을 은행에 대출한다고 보겠습니다. A가 100만원을 저축하게 되면, B와 같이 돈이.. 더보기
금리가 내려가는데 왜 주가가 오를까? 금리와 주가의 관계 반갑습니다. 하이퍼체스입니다.이번 글에서는 금리와 주가의 관계를 보겠습니다.  금리와 주가와의 관계를 이해하기 전에, 먼저 금리부터 제대로 알아봅시다.금리의 뜻은 이렇습니다. 1. 빌려준 돈이나 예금 따위에 붙는 이자, 또는 그 비율2. 돈의 대한 대가, 돈의 값 여기서 우리가 제대로 봐야하는 부분은 바로 2번입니다.먼저, 돈의 값은 누가 정할까요? 보통 시장의 수요와 공급에 따라서, 돈의 가치가 결정되지만,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돈의 가치가 달라집니다. 전 세계의 금융시장의 중심, 연방준비제도전 세계의 금융시장은 서로 연결되는 시대에서, 제일 큰 영향력을 자랑하는 건바로 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Federal Resrve) 때문입니다.약칭으로 연준 또는 Fed 라고 부르니까,.. 더보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