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투자 썸네일형 리스트형 안정적으로 수익을 내는 투자 전략! 리밸런싱에 대해 알아보자! 반갑습니다. 하이퍼체스입니다.이번 글에서는 장기투자를 할 떄의 투자 전략 중 하나인,투자자산 비율 분배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몇십년 이상은 묵히는 장기투자의 경우, 계속 수익이 나는 것이 중요합니다.앞서 제가 분산투자 글에서 설명한 게 있는데, 바로 채권과 현금 등을 사용하는 겁니다.주식과 채권(or 현금) 등을 비율에 맞춰 분배하게 된다면, 수익을 얻으면서, 손실도 줄일 수 있다고 했었습니다.https://hyperchess1.tistory.com/83 주식에서 리스크를 줄이는법, 분산투자를 한번 알아보자!반갑습니다. 하이퍼체스입니다.이번 글에서는 분산투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마라" 라는 서양 속담이 있습니다.이 속담은 투자에서 사용될 수 있는 말인데요.hyperc.. 더보기 주식일기 5일차 2월 첫 날에 도서관에서 대출을 받았다.사실 하루 밀려서 안될 줄 알았는데 된다길래신나는 마음으로 도서관에서 주식책을 찾았다.원래부터 보고 싶었던 "주식투자 무작정 따라하기"와그걸 고르면서 하나 집어온 "주식투자 ETF로 시작하라" 2권을 골랐다.원래 읽고 싶었던 책인 "주식투자 무작정 따라하기"는 지금은 주식에 대해서 좀 아니까, 너무 기초만 다룬거 같아 나에게 맞지 않음을 느꼈다. 내가 주식에 처음 손에 댄 1월에 시작했음 좋았던 책이였을텐데 아쉬움이 가득하다.주식투자 ETF는 ETF를 주로 다루고 있긴 하지만실제 주식 실전과 관련된 투자 전략도 설명하고 있었다. 거기서 단타와 관련한 것도 배워서,한번 단타를 해볼까 하는 호기심에 단타를 시작해봤다.사실 단타는 상승세에서의 이득을 크게 못 본다는 점.. 더보기 주식에서 수익률 올리는데 가장 중요한것이 뭘까? 반갑습니다. 하이퍼체스입니다.이번 글에서는 주식에서 수익률이 올리는 가장 중요한 것을 알아보겠습니다. 주식 수익률을 올리기 위해 필요한 것이 뭐라고 생각되시나요?수입이 무조건 많이 오르는 주식에 투자하는 것? 물론 수익률도 중요하지만, 제일 중요한게 빠졌습니다.결론적으로 주식투자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수익률이 아닌,바로 주식 투자를 할 때의 손실을 줄이는 겁니다. 일부는 이렇게 말할 수 있습니다.손실 40% 이렇게 봐도, 주가가 100% 오르면 60% 오르니까,결국에는 수익이 크게 나는거 아니냐고요. 하지만, 그건 명백한 착각입니다.손실은 숫자로 보이는 것 보다 메꾸는데 필요한 수익률이훨씬 더 큽니다. 왜 그런지 한번 보죠. 주식은 복리로 움직인다 https://hyperchess1.tistory... 더보기 주식일기 4일차 예수금이 엄청 들어왔다.설날 때문에 묶여있던 약 300만원 가량의 예수금이 들어왔다. 그래서 그 예수금을 다 투자했다.코카콜라에 8주, 화이자에 10주를 추가로 샀다.이번에는 ETF에도 투자했다. S&P 500 1주, SCHD 11주를 샀다.S&P 500이란, 미국 내 시총 1~500등 안에 드는 기업들을 전부 포함하는 ETF다. 즉, 미국의 우량주들 500개에 전부 투자한거다.S&P 500은 VOO로 해외꺼로 샀는데, 왜 해외껄 샀냐면, 국내꺼 중에서 "총 보수"랍시고 수수료를 속여서 떼어내는 사기꾼들이 너무 많기 때문이다. 아무튼 그래서 S&P 500을 VOO꺼를 사고, 시스코냐 SCHD냐를 고민하다 결국 SCHD에 투자했다.S&P 500 ETF은 우량주들을 사들이는 ETF라면,SCHD ETF는 배당.. 더보기 국장에 투자하면 안된다? 국내 기업의 전매특허 기술 물적 분할에 대해 알아보자! 반갑습니다. 하이퍼체스입니다.이번 글에서는 국장 기업의 전매특허 기술 물적 분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트랜스포머나, 드래곤볼 퓨전처럼, 기업은 분리될 수도 있고, 합체될 수도 있습니다.이 중에서 기업이 분리되는 경우에 있어서, 2가지로 나뉘는데,바로 인적 분할과, 이번 글에서의 핵심 주제인 물적 분할이 있습니다.이 2가지에 대해서 알아볼 겁니다. 인적 분할과 물적 분할? 한 기업에서 여러개의 산업을 하고 있을 때, 한 산업이 잘 된다면,그 기업에서 잘 나가는 산업을 똑 떼어다가 새로운 자회사를 만드는 걸 기업에서 분할이라고 합니다. 여기서 수평적으로, 그러니까 그 신설 법인의 지분을투자자에게도 나눠주는 걸 바로 인적 분할이라고 하고요. 이걸 수직적으로 나눠서 100% 그 기업의 자회사로 만들.. 더보기 [배당투자 4편] 배당주 투자에서의 경고, 신용잔고와 대비책 달러 반갑습니다. 하이퍼체스입니다.이번 글에서는 배당주 투자에서의 경고 중 하나인신용잔고와 달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민스키 모멘트(Minsky Moment) 라고 해서, 금융시장의 버블 붕괴 시점에 관한 이론이 있습니다.이 이론은 평온한 시장상황 그 자체가 만든 위험상황을 의미합니다. 자산시장이 안정적이고 수익률이 높을 때에는 차입을 통한레버지리 효과(지렛대 효과)로 수익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자산시장에 투자가 늘어나 자산 가격이 더욱 오르면,차입을 통한 투자가 더욱 활성화되어 부채는 더욱 더 증가하고,자연스럽게 자산시장의 거품은 커집니다. 그러다가 그 거품이 어느 순간 한계가 되면 터지게 되면서부채상환 능력이 없는 자산은 처분되고, 자산 가격이 크게 떨어진다는 거죠.이 순간이 바로 민스키.. 더보기 주식일기 3일차 이틀동안 내 지갑에 있던 현금 38만원 중 28만원을 전부 주식계좌에 넣었다.돈의 가치는 시간이 지날수록 떨어지는인플레이션 때문에, 냅두는 것 보다는투자를 해서 돈을 불리는 것이 더 낫다 봤기 때문이다.원래 가지고 있던 것까지 합해서 한 30만원 후반 정도 있었는데, 그걸 가지고 화이자 9주를 샀다.화이자가 기본적으로 살 때 PER이 7~8 정도로 낮은 편이고, 주당배당금 1.76, 배당이익률 6.4%이고, 유명한 배당주 ETF인 SCHD에 속한 기업이기에 이 주식을 선택했다.물론 배당수익률이 높다는 것은 재무관리부실로 인해 파산할 가능성도 있기에, 신중하게 재무제표를 보고 결정해야 한다. 더군다나 화이자 같은 제약회사의 경우 질병 등과 같은 모멘텀 등도 신경써야 한다. 대표적으로 코로나 같은 이벤트다... 더보기 [배당투자 3편] 배당주 투자를 할 때 위험성? 거시경제와 금리, 스프레드 반갑습니다. 하이퍼체스입니다.이번 글에서는 배당투 투자를 할 때의 위험성과,그 위험성을 대처하기 위해 알아둬야 할 것을 보겠습니다. 배당주 투자에서 위험성에 대해 알기 위해서는 필요한 게크게 5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거시경제2. 금리, 금리 역전 현상3. 신용스프레드, 장단기 금리 스프레드4. 신용잔고 추이5. 달러 자산 이 중에서 이번 글에서 볼 것은 1,2,3번입니다.4,5번은 다음 글에서 자세히 다뤄볼 생각입니다. 거시경제탑다운 투자 vs 바텀 업 투자 탑다운 투자와 바텀업 투자가 있습니다. 탑다운 투자전략은 경기변동 등의 거시경제를 분석한 뒤,개별 산업과 기업으로 내려가며 분석하여 투자하는 것으로,'하향식 투자' 라고도 불립니다. 반면에 바텀업 투자 전략은 개별 기업에 대해 분석.. 더보기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