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갑습니다. 하이퍼체스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배당투자 2편으로 배당주에서 중요한
PER과 우선주 등을 통해서 알아보겠습니다.
PER과 우선주 둘 다 글로 쓰긴 했습니다만,
배당투자에서 중요한 요소이기도 하고, 전에 쓴 두 글을 보완하는 역할로 해서,
이걸 다시 한번 보려고 합니다.
1. 저평가 여부를 보여주는 PER
주식을 잘하는 사람이 몇만원 밖에 안하는걸 비싸다 하는데,
백만원 단위의 주식을 살 때에는 비싸다는 말을 안 꺼내는 이상한 상황을
주식 공부 등을 깊게 해 보셨다면 한번 쯤은 보셨을 겁니다.
주식 고수가 주식의 가격을 평가하는 기준은 주가가 아니라,
주가가 얼마나 저평가 되어있는지 판단하는 기준인
"주가수익비율", 일명 "PER"로 판단합니다.
PER(Price Earning Ratio)은, 주가가 기업의 수익과 비교해서,
비싼지 여부를 판단하는 겁니다. PER의 경우에는 주가를 EPS(주당순이익)
으로 나눠서 구하죠.
주가수익비율은 주가가 주당순이익의 몇 배인지,
그러니까 현재 주가까 몇 년치 순이익에 해당하는가,
그리고 투자금을 언제 회수하는가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PER이 1이라면, 투자금 회수 기간이 1년이란 뜻이죠.
PER의 경우에는 높을수록 "고평가되었다, 비싸다" 라고 말하고요.
반대로 낮을수록 "저평가되었다, 싸다" 라고 말합니다.
PER이 10인 기업보다, PER이 1인 기업 중,
PER이 1인 기업이 더 싸다는 거죠.
근데, 그 기업 하나만의 PER로는 저평가 여부를 제대로 판단할 수 없습니다.
이 경우에는 같은 동종업계 내의 다른 기업과의 PER을 비교해야 합니다.
배당금 투자를 할 때에는 기본적으로 "배당"을 기준으로,
주가의 저평가 여부르 판단합니다. 1편에서 살펴본
배당성향, 시가배당률, 배당이력이 중요한 지표가 되죠.
기업에 우선주가 있다면 우선주로
우선주란, 의결권이 없는 대신, 기업에서 배당이나 잔여재산을 배분할 때에
우선권을 가지는 주식, 보통주와 비슷한 배당을 가지는 걸 말합니다.
우선주의 "우선"을 가르키는게 바로 배당입니다.
근데 우선주는 의결권을 포기한다는 점. 그리고 거래량이 적어
유동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진다는 점 때문에, 보통주보다 주가가 저렴합니다.
즉, 보통주보다 싼데 배당을 더 주는게 바로 우선주죠.
국장에서 우선주는 뒤에 -우가 붙습니다.
삼성전자우, LG전자우 등이 대표적인 우선주죠.
배당이 더 큰건 알겠는데, 의결권을 왜 포기하면서 까지 하는 걸까요?
의결권이란, 주주총회에서 올라온 안건에 찬, 반대표를 던질 수 있는 권리를 말합니다.
하지만, 주주총회에서는 소액주주의 경우에는 의결권이 매우 약하고,
대주주의 경우에는 의결권이 강하죠.
그리고, 기관 등이 기업 내에 개입하면서, 의결권 역할을 대신하기 때문에,
현 상황에서는 의결권의 가치가 점점 떨어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그래서 의결권의 힘이 거의 없는 소액주주의 경우에는 우선주에 투자하는 것이
매우 현명한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우선주의 종류
우선주에도 종류가 있는데요.
바로 구형 우선주와, 신형 우선주입니다.
다음 사진을 보죠.
제가 쓰는 NH투자증권에서 현대차를 검색했을 떄 나온 겁니다.
현대차증권을 제외하고 보면, 그냥 "현대차"는 현대차 보통주고요.
"현대차우"는 구형 우선주, "현대차2우B","현대차3우B"는 신형 우선주입니다.
구형 우선주는 보통주와 구분을 위해 뒤에 "-우" 를 붙히고요.
신형 우선주는 구형 우선주와 비교를 위해 우B로 알파벳을 하나 추가합니다.
그리고 우선주의 종류가 많을 때에는 2, 3, 4 등으로 붙이죠.
구형 우선주와 신형우선주는 배당과 배당률에서 차이가 납니다.
구형 우선주의 경우에는, 액면가를 1% 이상 더 주도록 정해져 있습니다.
반면 신형 우선주의 경우에는 최저배당률을 보장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기업이 적자 등으로 배당을 못하면, 다음해의 누적해서 밀린
최저배당금을 지급해야 하죠.
신형 우선주의 세부적인 내용과 규정은 각 기업의 사업보고서에 있고요.
중요한 부분만 보면 이렇습니다.
구분 | 보통주 | 구형 우선주 | 신형 우선주 |
의결권 | 있음 | 없음 | 없음 |
배당률(액면가 기준) | 기업별로 다름 | 보통주보다 1% 이상 | 최저배당률 적용 |
배당 | 비누적 배당 | 비누적 배당 | 누적 배당 |
우선주의 주가는 계속 오르고 있다
우선주의 주가의 경우 과거에는 기업이 배당을 소홀하게 하기 시작하면서,
우선주의 주가는 상대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이 생기곤 했습니다.
그리고 그 때에는 증여세나 오너들의 일감 몰아주기 같은 불투명한 의사 결정이 이어졌고,
그 때에는 기관이 스튜어드쉽코드도 없던, 쉽게 말해 의결권 역할도 대신하던 시절은 아니기 때문에,
우선주의 주가는 보통주에 비해서 매우 낮았죠.
하지만, 이후 기관이 스튜어드쉽코드를 채택하고, 배당에 대한 중요성이
최근 게속 강조되면서 우선주에 대한 관심은 더욱 더 높아지고 있습니다.
실제로 코스피지수가 박스권일때에 우선주지수는
7년동안 주가가 100% 이상 증가했고요.
즉, 우선주가 시세차익과 배당수익률 2가지를
동시에 챙길 수 있는 종목이기 때문에, 해당 기업 종목에 우선주가 있다면
의결권이 필요 없을 때 우선주를 선택하는 것이 좋은 선택입니다.
이번 글은 여기까지고요.
다음에는 금융시장의 상황과 배당주의 관계를 보겠습니다.
'주식 > 주식 실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당투자 4편] 배당주 투자에서의 경고, 신용잔고와 대비책 달러 (0) | 2025.01.30 |
---|---|
[배당투자 3편] 배당주 투자를 할 때 위험성? 거시경제와 금리, 스프레드 (0) | 2025.01.29 |
[배당투자 1편] 사업보고서로 좋은 배당주를 구분할 수 있다고? 사업보고서를 보는 방법을 알아보자! (0) | 2025.01.26 |
아무것도 안해도 돈이 들어온다? 워런 버핏의 투자법인 배당투자를 알아보자! (1) | 2025.01.19 |
장기투자와 단기투자, 무엇을 해야 할까? (0) | 2024.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