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갑습니다. 하이퍼체스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국가에 투자를 하는 ETF(상장지수펀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인터넷이나 주변에 주식을 했다가 망한 사람들을 쉽게 볼 수 있어서
사람들은 주식에 손을 대는 것을 꺼리는 경향이 있습니다.
근데, 기업은 망하더라도, 한 국가가 망하는 경우는 거의 없을 겁니다.
이런 국가 경제에 투자하는 것이 우리가 배워볼 ETF, 상장지수펀드입니다.
ETF는 무엇일까?
ETF는 (Exchange Traded Fund)의 약자로, 최소 10종목 이상을 묶어
만든 지수를 추종하게 만든 펀드입니다. 즉 주식은 아니긴 합니다.
하지만 펀드임에도 불구하고, 한국거래소를 통해 주식처럼 사고 팔 수 있고,
지수의 움직임을 오차없이 따라가야 하는 상품이다 보니 꽤 투명하다는 점이 있습니다.
펀드매니저가 종목을 선별하지 않고도 그냥 지수를 따라가기만 하면 되므로,
운용보수가 일반 펀드에 비해서 낮다는 점이 ETF의 장점입니다.
운용보수는 ETF마다 조금 다르지만요.
ETF의 장점
ETF는 여러 종목에 분산투자를 하는 방식이라서, 한 종목에 투자하는 것에 비해서 리스크는 적습니다.
종목 하나가 망할 수 있어도, 증권시장 하나는 장기적으로 오른다는 믿음이 있다면,
이런 ETF가 꽤 괜찮은 투자 상품이죠.
즉, 분산투자를 하면서 장기투자를 할 수 있는 상품이란 겁니다.
실제로 투자의 귀재인 워런 버핏의 경우에는, 자신의 유서에 '재산의 10%를 국채 매입에, 나머지 90%는 모두
S&P500(스탠더드앤드푸어스) ETF에 투자하라' 라고 할 정도로,
증권시장이 성장할 것이라 굳게 믿는 투자자죠.
종류가 많은 ETF
ETF200에서 가장 대표적인 건, 코스피200 지수를 추종하는 ETF입니다.
코스피200 지수는 대한민국에서 코스피에 상장된 회사 중에서 여러 종목을 봐서,
200개의 종목을 선정한 겁니다.
즉, 코스피200 지수의 ETF는 사실상 코스피 시장을 통째로 산 거랑 거의 비슷하단 거죠.
코스피200 지수에 대한 건 제가 글로 다루었으니 참고 바랍니다.
https://hyperchess1.tistory.com/37
코스피 200과 코스닥 150은 대체 뭘까?
반갑습니다. 하이퍼체스입니다.이번 글에서는 코스피 200과 코스닥 150에 대해서 배워보겠습니다. 코스피 지수, 코스닥 지수보다 더 유명한 지수가 있습니다. 코스피200코스피 200은 대한민국 대
hyperchess1.tistory.com
그래서 코스피200 추종 ETF를 사는 걸 '코스피 시장을 샀다' 라고 말하곤 하죠.
삼성자산운용이 운용하는 KODEX200이나, 미래에셋자산운용이 운용하는 TIGER200이 여기에 속합니다.
만약 미국의 S&P500 지수를 추종하는 ETF도 국내에 상장되어 있기 때문에,
미국 시장을 사는 것도 가능합니다.
베드남 증시(VN지수)를 따라가는 ETF도 상장되어 있어서
베트남 시장도 사볼 수 있는거죠.
그 외에도 금 값을 따라가는 금ETF, 채권 수익률을 따라가는 채권ETF 등
ETF의 종류는 굉장히 많습니다.
자산운용사의 실력에 따라 벌어지는 추적오차
\코스피200지수를 추종하는 ETF라면, 코스피200 내 종목을 정해진 비중으로 ETF에 담아야 합니다.
예를 들어 코스피200 지수에 삼성전자 20%, SK하이닉스가 8%로 구성되었다면,
ETF 안에서도 같은 비중으로 해야지만, 지수와 ETF 수익률이 동일하게 돌아가죠.
근데, 똑같이 종목을 담다보면, 매매비용, 거래세 등도 발생되면서,
나중에는 순자산가치(NAV)가 떨어질 수 밖에 없는데, 지수와 순자산가치 간 차이를
추적오차라고 합니다. ETF의 단점 중 하나입니다.
그래서 자산운용사는 고객 투자금의 일정 부분을 채권 등 다른 자산을 이용해서
번 약간의 수익으로 이러한 손실을 메꾸게 되죠. 이걸 잘하는 자산운용사면
추적오차가 작고, 못하는 자산운용사는 추적오차가 커지죠.
지수는 잘 따라갔지만 생기는 괴리율
앞에서 나온 단점과 연관되는 부분입니다.
자산운용사가 기초지수를 잘 따라갔는데, 지수와 ETF 가격이 또 벌어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자면 시장환경, 투자수요 등으로 생길 수 있는데, 이를 괴리율이라 합니다.
괴리율이 생기는 예로, 증권사가 주식의 물량이 수요를 컨트롤하지 못해서,
사겠다는 사람이 많은데 주식 양이 적어서 가격이 올라 괴리율이 커집니다.
실제로 2007년 10월 중국 주식투자 붐이 일어났었는데, 한 중국 ETF가 상장 첫날에
이런 이유로 괴리율이 벌어져, 21,500원짜리가 22,200원에 거래되었습니다.
그리고 국내 주식시장과 해외 주식시장이 아예 다른 형식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해외 자산과 연관되는 경우에 괴리율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한국의 경우에는 하루 최대 30%까지 움직일 수 있는 반면,
미국의 경우에는 한국에 있는 가격제한폭이 없습니다.
그래서 미국 관련 ETF가 간밤에 80%가 올랐다면,
한국 ETF는 30% 밖에 가격이 오르지 못하므로, 50%의 괴리율이 생기죠.
괴리율은 양수(+)면 높고, 음수(-)면 더 싼겁니다.
만약 음수면 이익을 보고, 양수면 손해를 보는 불확실하죠.
그래서 ETF의 경우에는, 거래량이 많고, 추적오차가 낮으며,
비용이 저렴하고, 괴리율이 낮을수록 좋습니다.
이번 글은 여기까지고요.
다음 글에서는 또 다른 글로 찾아오겠습니다.
'주식이 아닌 상품(ETF,ET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왜 금을 사람들이 사들일까? 금에 투자할 때의 장점과 단점 (0) | 2025.02.02 |
---|---|
돈을 복사시켜주는 ETF? S&P 500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5.01.21 |
주식시장에서 건물주 되는 방법? 리츠에 대해서 알아보자! (1) | 2024.12.30 |
원유, 구리 값에 투자할 수 있다고? ETN에 대해 알아보자! (1) | 2024.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