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지식

인생에서 돈을 버는 자산을 구축해야 하는 이유

728x90
반응형

반갑습니다. 하이퍼체스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자산을 구축해야 하는 이유를 알아보겠습니다.

 

썸네일

 

 

원래 마트나 이런 곳에서 예전에는 2~3000원 주면 살 수 있던 게

어느샌가 5000원까지 올랐던 경험은 있을 겁니다.

 

그리고 원래 식당에서 5000원에 1끼를 해결할 수 있었지만,

지금은 이제 1만원을 줘야지 1끼 해결이 가능해지는 상황이 되었죠?

도데체 왜 물가가 심하게 오를까요?

 

 


물가가 오르는 근본적인 이유

 

물가가 오르는데에는 여러 이유가 있지만,

경제 위기 수준이 아닌데도 계속 정부가 계속 돈을 찍어내기 때문에

물가가 오르곤 합니다.

 

일단 왜 돈을 찍어내는 가장 큰 이유로는 부채 문제 때문입니다.

돈을 찍어내면, 국채 금리가 낮아지고, 정부의 이자 부담이 줄어들죠.

왜냐하면 금리는 결국 돈의 값인데, 돈이 많아질수록 값이 낮아지니까요.

 

허나, 이는 돈의 가치가 하락하는 주요 원인이 되기 때문에,

인플레이션이 증가하면서, 재산이 거의 없다시피 한 서민들의 피해로

돌아오게 되죠.

 

돈을 찍어내지 않는다면 세금을 더 걷는 방법이 있긴 한데,

이는 국민들의 반발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표로 먹고 사는

정치인들 입장에서는 돈을 찍어내는게 최선이죠.

 

 

자산이 많으면, 인플레이션이 오히려 좋다?

 

 

허나 이와 반대로 부동산, 금, 주식 같은 자산을 많이 보유한 부자들은

오히려 인플레이션이 반가운 소식입니다.

 

왜냐하면 자산을 많이 보유할 수록, 인플레이션이 증가함에 따라

그 자산의 가치도 함께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실물 자산(ex. 부동산, 금)의 경우에는 말이 필요 없고요.

주식의 경우에는 정상적인 인플레이션이라면 경제가 좋다는 뜻이기 때문에,

주식의 주가도 보통 오릅니다. 자산이 많은 부자는 인플레이션이 호재죠.

 

하지만, 자산이 없는, 흔히 "월급쟁이" 라고 불리는 사람들은

이런 인플레이션에 취약해집니다.

 

 

월급쟁이가 인플레이션에 취약한 이유

 

월급쟁이가 인플레이션에 취약한 이유는 간단합니다.

내 월급이 인플레이션 수준을 따라잡지 못하기 때문이죠.

 

최저임금 기준으로 볼까요? 2025년 최저임금은

2024년보다 1.7%가 오른 10030원입니다.

 

근데, 소비자물가지수는 2.3%가 올랐죠.

즉, 최저임금 오른 거 보다, 물가 상승률이 더 빠른 겁니다.

 

근데, 전부 다 2.3%가 오르면 그나마 다행이지만,

안타깝게도, 우리가 사는 것 중에 일부는 더 많이 오릅니다.

예를 들어서 빵, 소고기, 과일, 우유 등 몇몇가지 제품의 경우 2.3%보다 더 오르죠.

이런 식료품 말고도, 가스 등과 같은 다른 것들도 2.3% 이상 오르기도 합니다.

 

그리고 월급을 받을 때에는 반드시 세후에 수령받는다는 걸 생각한다면,

실질적으로 인플레이션에 취약할 수 밖에 없습니다.

 

당장 치킨이 1만원에서 2만원이 되었다고,

절대로 월급도 2배 이상이 되는 건 아니니까요.

 

 

월급쟁이는 세후, 부자들은 세전으로 받는다

 

부자와 월급쟁이가 불공평한 것 중에서, 세금도 있습니다.

월급쟁이의 경우 세후, 부자는 세전으로 수령받죠.

이게 무슨 의미인지를 한번 보겠습니다.

 

먼저, 월급쟁이의 경우에는 세후에 수령을 받게 되는데요.

세후에 받지 않고, 세전에 받는 방법은 없습니다.

 

다만, 자산을 가진 부자들의 경우, 세금을 나중에 냅니다.

예를 들어 법인사업자는 3,6,9,12월에 법인세 결산(결산 달+3개월 동안),

개인사업자는 5월 종합소득세 신고(5월 1일~5월 31일까지) 등으로 나중에 내죠.

 

이걸 잘 이용하는 방법만 알고 있다면

충분히 세금 낼 돈으로 더 많은 투자를 할 수가 있습니다.

 

로버트 키요사키의 명언이 있습니다.

"세금을 안 내면, 얼마나 빠르게 부자가 되는지 당신은 모를 것이다"

 

즉, 월급쟁이에게 있어서, 세금은 돈을 벌어주는 자산을 가진

부자들과의 차이에서 가장 불공평한 부분이라고 말할 수도 있죠.

 

 

결론: 소액이라도 돈을 벌어주는 자산에 투자하라

 

즉, 월급쟁이 생활에서 벗어나, 부자가 되기 위해서는

투자는 사실상 필수적입니다.

 

투자는 월급 중에서 일부를 주식 등에 투자하던지,

더 큰 수익률을 원한다면, 그만큼 리스크가 있긴 하지만, 종잣돈+대출을 한 돈을

부동산, 주식 등 자산에 투자하는 레버리지를 이용해서 수익을 내는 방법이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저축만 해서는 부자가 되는 건 불가능합니다.

저축한 돈은 곧 시간이 지날수록 가치는 점점 떨어지게 될 겁니다.

현 대한민국에서 투자는 부를 쌓으려면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어버린 시대이며,

부자가 되려면 이런 투자를 공부하고, 실행해야 합니다.

 

이번 글은 여기까지고요.

다음에 또 다른 글로 찾아뵙겠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