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하이퍼체스

왜 주가는 안 좋을 때 오르고, 좋을 때 내려가기도 하는걸까? 미래 주가를 예측하는 지표 3가지 반갑습니다. 하이퍼체스입니다.이번에는 주가에 대해서 한번 이해를 해 보려고 합니다. 주가랑 경제 뉴스를 보다보면, 경기가 좋다 하는데 주가가 떨어지기도 하고,반대로 경기가 안 좋다 하면서, 주가가 오르는 이상한 현상이 나타나곤 합니다.도대체 주가는 무슨 이유로 떨어질까요? 미래 전망에 따라 내리고 오르는 주식주식은 미래를 내다 보면서 오릅니다.즉, 현재 기업 실적이나 경기가 아무리 안 좋더라도,미래에는 좋아질 것 같으면, 주가는 오릅니다. 반대로 기업 이익이 최고치를 기록하며, 경제성장률이 높아져도,미래가 암울하다 생각하면 주가는 떨어지죠. 대표적인 예시로 익히 잘 아는 삼성전자를 예로 들면,2018년도 3분기 기준 삼성전자는 영업이익이 17조를 기록하며사상 최고치에 달했음에도, 다음 사진처럼 삼성전자.. 더보기
금값과 구리값, 주식에서 왜 중요할까? 금값과 구리값의 중요성 반갑습니다. 하이퍼체스입니다.이번 글에서는 금값과 구리값이 왜 주식에서 중요한지금값과 구리값이 경기 등을 어떻게 나타내는지를 알아보겠습니다.주식 관련 기사를 보면, 항상 금값과 구리값에 대한 이야기가 나옵니다.그저 광물중 하나일 뿐인 금과 구리의 값이 왜 주식 기사에 뜨는 걸까요?이는 경기의 좋음과 나쁨을 알려주기 때문입니다. 구리(Copper)구리는 현대 사회에서 빠질 수 없는 광물입니다.가전제품 외에도 전선, 자동차, 건물 등과 같은 현대 사회에서중요한 부분들은 전부 구리가 들어가죠. 이를 계속 꼬리를 물고 물어서 보자면,구리의 수요가 많아진다는 것은 결국 산업 전방위적으로 제품 생산이 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제품 생산이 많다는 것은, 그 제품을 살 수 있는 여력이 증가했다는 소리가 되면서,이는 결국.. 더보기
[주식 이론] 주식과 채권, 펀드는 대체 뭘까? 반갑습니다. 하이퍼체스입니다.이번 글에서는 주식과 채권, 펀드에 대해서 배워보겠습니다.  아마 고등학교 나가신 분들이라면, 경제에서 대충 주식, 채권, 펀드가 뭔지는간단하게 들어보셨을 겁니다. 저도 통합사회에서 2학기 기말 시험범위로 배웠거든요. 이 글에서는 이걸 다시 복습하는 겸 하면서,조금 더 딥하게 들어간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기업을 경영하게 되면, 항상 필요한게 돈입니다.그래서 사람들에게 돈을 빌리거나, 투자를 받아야 하는데,"투자해줘" 라고 하면 주식,"돈 빌려줘" 라고 하면 채권이 되는 겁니다. 간단하죠? 주식과 채권 모두 증권이라고 부르고요.증권은 주식 보유자, 채권자의 소유권, 재산권을 나타내는 증서를 말합니다.여기서 이제 주식을 보겠습니다.주식주식은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 더보기
[주식 이론]삼성전자랑 삼성전자우의 차이가 뭘까? 우선주와 보통주의 개념 반갑습니다. 하이퍼체스입니다.이번 글에서는 우선주와 보통주 개념에 대해서 배워보겠습니다.  증권사 앱을 키고, 삼성전자를 검색하게 된다면, 2개의 종목이 뜹니다.바로 삼성전자와, 삼성전자우죠.그 외에도 LG전자, LG전자우로 뒤에 "우"가 들어가는 종목이 있습니다. 근데, 같은 삼성전자 같은데, 삼성전자와 삼성전자우나,LG전자와 LG전자우나 결국 거기서 거기 같은데,뒤에 우는 무슨 뜻을 의미할까요? 그리고 가격은 왜 뒤에우가 붙는 종목이 더 쌀까요?이걸 이해하기 위해서는 보통주와 우선주에 대해 배워야 합니다. 보통주(普通株) VS 우선주(優先株) 삼성전자 같이, 종목 이름 뒤에 아무것도 붙지 않은 종목을보통주(普通株) 라고 합니다.그리고 이름 뒤에 "우"가 붙는 종목을 우선주( 優先株) 라고 하죠. 우선.. 더보기
[주식 이론] 코스피(KOSPI)와 코스닥(KOSDAQ) 대체 뭐고 무슨 차이가 있을까? 반갑습니다. 하이퍼체스입니다.드디어 제가 주식 공부를 시작하면서, 주식 첫 글을 쓰게 되는데,이번 글에서는 코스피와, 코스닥에 대해서 알아보려 합니다.항상 경제 뉴스 등을 보면, 코스피랑 코스닥 관련해서 자주 나오는데,코스피랑 코스닥이 뭐고, 둘은 무슨 차이가 있는 걸까요? 결론부터 말하자면, 코스피 시장과 코스닥 시장은둘 다 한국 주식시장에 속해 있고, 주식을 사고 팔거나, 그 외의 여러 시스템 등이 굴러가는전체적인 메커니즘은 같은데, 두 시장의 성격에 따라서 차이가 나뉜다고 말할 수 있겠습니다.코스피(KOSPI) 코스피는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의 약자인데,증권거래소에서 상장된 주식 가격을 표시한 수치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기업의 자산 규모, 실적, 재무 상태를 .. 더보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