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주식 이론

실적이 잘 나왔다는 기준이 뭘까? 어닝쇼크와 어닝서프라이즈

728x90
반응형

반갑습니다. 하이퍼체스입니다.

이번에는 기업의 실적이 잘 나왔다는 게 뭔지 알아보겠습니다.

 

썸네일

 

기업의 실적은 주식을 하는 사람들 입장에서 중요한 요소입니다.

실적은 곧 주가에 영향을 주거든요.

기업 실적이 잘 나왔는지의 기준은 어떻게 정할까요?

 

 

어닝쇼크와 어닝서프라이즈

 

기업의 실적이 정식으로 발표 전에 각 증권사의 애널리스트들이 이번 분기 실적 잠정치를 내놓습니다.

그 이유는 실적이 잘 나올 경우 기업 가치가 오르면서 주가가 오르는데, 잘 나올 것이라 예상하고

미리 해당 주식을 사면 주가 상승의 수혜를 얻을 수 있으니까요.

 

그러나, 기업 실적 같은 중요 정보를 공시 이전에 미리 흘리는건 불법입니다.

그래서 애널리스트들은 기업의 실적을 가능한 정확히 예측해서,

증권사의 고객들이 한 발 앞선 투자를 하도록 돕는거죠.

 

이렇게 애널리스트들이 추정한 실적 전망치의 평균치를 구한걸

컨센서스(Consensus)라고 합니다. 이 컨센선스를 기준으로

실적이 잘 나왔는지, 못 나왔는지를 따집니다.

 

만약 실적이 컨센서스보다 10% 이상 잘 나오면 어닝서프라이즈,

반대로 못 나오는 경우에는 어닝쇼크라고 합니다.

기준을 누가 10%라고 정한 건 아니지만, 시장에서 대략 10%

상, 하회를 서프라이즈와 쇼크의 기준으로 삼죠.

 

큰 폭의 어닝서프라이즈의 경우에는 주가가 상승하고,

반대인 어닝쇼크의 경우에는 주가가 하락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100%로 서프라이즈에 오르고 쇼크에 내려가는 건 아닙니다.

 

 

실적 발표 때에는 뭘 주로 보는게 좋을까?

 

실적을 볼 떄에는 매출액,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을 주로 봐야 합니다.

이는 최근사업의 규모와 현금흐름을 가늠할 수 있는 가장 좋은 수단이기 때문이죠.

 

메츨엑은 기업이 기업활동을 통해 벌어들인 금액의 총량을 말합니다.

작년 동기 매출액과 비교해 이번 분기에 회사가 총 얼마를 벌어들였는지를

짐작해볼 수 있는 지표죠.

 

영업이익은 매출액에서 매출원가와 판매관리비 및 일반관리비를 뺀

금액을 말합니다. (영업이익 = 매출액 - 매출원가 - 관리비 - 판매비)

매출액은 비슷하거나 늘었음에도 영업이익이 줄었다는 건, 영업비용이

그만큼 증가했단 것으로, 효율적으로 비용관리를 못했다고 해석할 수 있죠.

 

단, 업종 특성에 따라서 차이가 날 수 있기 때문에,

비슷한 업종 끼리 비교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당기순이익은 영업이익에서 영업외손익을 반영하고,

법인세 비용까지 차감시킨 금액입니다.

(당기순이익 + 영업이익 + 영업외손익 - 영업외비용 - 법인세)

 

영업외손익이란, 예금, 부동산투자 같은 기업이 벌인 기타사업에서

벌거나 잃은 돈을 말하는 겁니다.

 

당기순이익과 영업이익과의 차이가 있다면, 당기순이익의 경우에는

기업이 본업에서 활동한 영업이익에서, 본업이 아닌 회사 소유의 부동산 등을

매각한 이익 등이나 자사주, 채권 등처럼 본업 외의 이익도

당기순이익에 포함됩니다.

 

 

기업이 실적 발표를 안하면?

기업이 실적 발표를 우리가 망한 성적표를 보여주는 것 만큼 싫어하는 일이지만,

결론부터 말하자면 기업이 실적 발표를 하지 않으면 바로 상장폐지 절차로 들어갑니다.

 

한국 주식시장에 상장된 기업은 한 분기나, 반기가 종료된 뒤

45일 이내에,

한 해(회계년도)가 종료되면 90일 이내에 실적을 발표해야 합니다.

 

실적을 발표할 때에는 각각 분기보고서, 반기보고서, 사업보고서를 공시해서,

기업이 실적을 공시에 실적을 밝히는거죠.

 

분기, 반기, 사업보고서 제출은 의무인데, 만약 이걸 늦게 내는 경우에는

바로 관리종목으로 지정되고, 이후에도 10일이 지나지 않으면

바로 상장폐지 절차에 들어가게 됩니다.

 

이번 글은 여기까지고요.

다음 글에서는 또 다른 주식 글로 돌아오겠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