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갑습니다. 하이퍼체스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추세선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제가 앞서 봉차트를 설명했었습니다.
봉차트를 이용해서, 어떻게 주가를 판단하는지를 알아봤죠.
이번 글에서는 추세선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추세선(Trend Line)이란?
추세선이란, 주가 흐름의 방향을 나타내는 선을 말합니다.
주가는 일정한 방향으로 계속 움직이는 방향이 있는데, 이를 추세(Trend) 라고 하고,
추세를 알아보기 쉽게 나타낸 선이 추세선이죠.
주가 그래프를 볼 때 1차적으로 볼 것이 바로 추세선이므로,
추세선에 대해서 잘 알아야지 투자에 성공할 수 있습니다.
지지선과 저항선
주가는 고점과 저점을 만들면서, 쉬지 않고 움직입니다.
주가의 고점과 저점 중, 의미있는 두 고점 또는 두 저점을 연결한 직선이
바로 추세선입니다.
저점을 연결한 결과 위로 향할 때를 상승추세선이라고 하고요.
주가가 하락할 때 마다 가격하락이 되지 않게 지지해주므로 지지선이라고 합니다.
반대로 고점을 연결한 결과 아래로 향하는 것을 하락추세선이라 하고,
주가가 상승할 때 마다 이 선의 저항을 받아 내려오므로, 저항선이라 부릅니다.
이 때문에, 지지선에서는 매수, 저항선에서는 매도하는게 원칙이죠.
추세선의 기울기와 길이
추세선은 길이가 길수록 신뢰도가 높습니다. 왜냐하면 주가가
추세선에 닿을 때 마다 지지나 저항을 받았음에도 무너지지 않았음을 의미하니까요.
보통 6~8주, 길면 몇개월도 갑니다.
그리고 추세선의 기울기는 많이 클 수록, 그 세력이 강함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45도선인데, 45도를 넘는다면 매수(또는 매도) 세력이 강함을 의미하죠.
초보 투자자의 경우에는 추세선 기울기가 큰 종목보다
완만한 종목에 투자하는 것이 수익을 더 낼 수 있습니다.
추세선을 이용한 4가지 매매방법
일반적으로 추세선이 이탈하지 않으면, 한 추세가 이어진다 보면 됩니다.
여기서 이탈은 3~5% 수준으로, 그걸 넘어서면 추세 이탈이라고 봅니다.
이 추세를 따라, 매매 여부를 판단해야 합니다.
참고로, 주가에 잔파도가 있다고 사는 것은 좋지 않은 투자 방법입니다.
잔파도를 타는 건 큰 수익을 낼 기회를 놓치거나, 판 가격보다
더 높은 가격에 사게 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이 추세선을 활용한 3가지 매매방법을 보겠습니다.
1. 상승추세와 하락추세일 떄 매매방법
제가 현재 가지고 있는 주식인 KT의 일봉 그래프를 보겠습니다.
여기서 추세에 따라 선을 그어보면 이렇게 나옵니다.
여기서 추세선 2024.9.2~2025.2.10 까지 보여줘봤습니다.
봉차트 근처에 빨간 선이 바로 추세선입니다.
이 추세선에서, 상승추세선일 때에는 매수, 상승추세선에서 이탈할 때 매도,
그리고 또 하락추세선을 이탈할 때 또 매도를 하는 겁니다.
하지만, 지나치게 가파른 추세선은 언젠가는
조정, 폭락 등으로 무너지기 쉽습니다. 그러므로
45도를 넘어 직각에 가까울 때에는 매도 준비를 하다가
이탈하자마자 바로 매도해야 합니다.
KT 차트만 봐도 알 수 있듯이, 상승추세선이 가파르게 오르다가,
다음 하락추세선에 급격하게 주가가 폭락한 걸 확인할 수 있죠?
그리고 또 하나 더, 가파른 추세선이 붕괴된 후에,
최근의 고점을 다시 시험하는 경우도 있는데, 만약 직전
고점대의 거래량에 미치지 못하면 매도해야 합니다.
2. 지지선과 저항선
앞서 말했던 지지선과 저항선도 비슷합니다.
지지선에서는 매수, 저항선에서는 매도를 하는거죠.
물론 예외는 있습니다. 지지선을 뚫고, 더 떨어지면 매도,
저항선을 뚫고 상승하면 매수를 하는 방식으로 해야 합니다.
3. 거래량을 통한 추세선
거래량도 추세를 볼 때 중요합니다.
거래량이 추세와 같은 방향으로 거래량이 증가하면
추세가 그대로 이어진다고 봅니다.
하지만, 거래량이 추세선과 반대로 움직이게 된다면,
추세 반전을 경고합니다.
예를 들어 주가는 상승하는데, 거래량이 감소하는 경우,
또는 주가는 하락을 지속하는데, 거래량은 오히려 증가하는 경우
추세의 반전이 일어날 수 있음을 예고하는 거죠.
이번 글은 여기까지고요.
다음 글에서는 또 다른 글로 찾아뵙겠습니다.
'주식 > 주식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봉차트를 보면 주가 상승 하락이 보인다? 봉차트를 알아보자! (0) | 2025.02.07 |
---|---|
국장에 투자하면 안된다? 국내 기업의 전매특허 기술 물적 분할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5.02.01 |
외국인은 왜 투자를 잘할까? 주식시장의 외국인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4.12.31 |
주식 거래량이 많은 것이 좋을까? 주식 거래량의 관계 (1) | 2024.12.31 |
실적이 잘 나왔다는 기준이 뭘까? 어닝쇼크와 어닝서프라이즈 (0) | 2024.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