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갑습니다. 하이퍼체스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기관투자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제가 최근에 올린 글 중에서, 외국인 투자자에 관해서 올렸습니다.
https://hyperchess1.tistory.com/54
그리고 이 외국인 투자자 다음으로 자주 전해지는게 바로 기관투자자죠.
기관투자자도 꽤 높은 승률로 수익을 가져가거든요.
그런데 HTS 등을 보면 기관투자자 안에 연기금, 금융투자, 보험, 투신, 은행,
기타법인, 기타금융, 사모펀드 같이 여러개의 주체가 있습니다.
이 중에서 어떤 걸 참고해야 할까요?
추세를 보는 연기금
연기금이란, 연금+기금을 말합니다.
국민연금, 공무원연금기금, 우체국보험기금, 사학연금기금 등이 속하죠.
이들은 국민의 노후소득을 보장하거나, 특정 공공사업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만들어진 자금이죠.
이 때문에 투자 방향이 보수적이고 안정적입니다.
즉, 단기투자가 아닌 장기투자를 추구하며, 우량주를 주로 삽니다.
그리고 우량주가 싸지면, 연기금은 어김없이 저점매수를 하는 편이죠.
시장 관계자들은 이 중에서도 국민연금의 행보를 보는 편입니다.
우리나라 국민연금의 자산규모는 2024년 초 기준 1000조원으로, 일본의 공적연금펀드(GPIF)와,
노르웨이 국부 펀드(GPF)에 이어 세계 3위 규모로 덩치가 크죠.
덩치가 큰 국민연금이 종목을 사기 시작하면,
수급상 호재로 받아들일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그래서 때가 되면 올라오는 국민연금의 지분 관련 공시를 사람들이 주의깊게 보죠.
또 주식시장이 패닉일 때, 연기금이 주식시장이 패닉을 진정시키는 경찰 역할을 하는데,
외국인과 개인이 모두 주식을 팔고 떠났을 경우, 대형주 중심으로 사 들여서,
지수가 지나치게 하락하지 않도록 막는 역할도 합니다.
투신, 보험사, 은행의 장기투자 자금을 보자
투신(투자신탁)과 은행, 보험도 장기투자 성향이 강합니다.
자산운용사처럼 투신은 고객의 돈을 위탁받아 기관이 운용하는 경우로,
가입한 펀드를 굴릴 떄 나오는 주체가 바로 투신입니다.
은행과 보험사는 우리가 흔히 아는 시중은행과 보험사를 말합니다.
은행에서도 개인투자자의 신탁을 대신 관리하기도 하고, 보험회사도
마찬가지로 돈을 열심히 굴립니다.
보험회사의 경우에는 고객이 낸 보험료의 일부를 회사에 쌓고,
나머지 돈으로는 부동산이나 주식에 투자해서 수익을 내죠.
특히 보험사의 경우에는 과거 고금리를 보장한 보험을 판매한 게 많을수록
주식 투자등으로 높은 수익을 내야 역마진 우려를 덜 수 있죠.
이들은 업종 특성상 연기금과 마찬가지로 보수적이며, 장기적인 투자를 지향합니다.
다만, 투신이나 은행의 경우에는 고객이 펀드나 신탁을 해지하면 팔아야 수요가 생기므로
이에 대해서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이들이 증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적어서,
이들의 거래패턴을 유심히 지켜보는 투자자는 많지는 않습니다.
거래를 쉬지 않고 하는 금융투자와 사모펀드
금융투자는 주로 증권사로, 다른 투자자들의 거래를 중개하거나,
자기자본을 이용해서 투자하는 사람들을 말합니다.
금융투자의 경우에는 투자 시야가 짧은 편입니다.
왜냐하면, 돈을 맡긴 사람들이 시시각각 수익률을 평가해서,
긴 호흡으로 투자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또한 금융투자는 단기적으로 수익을 내기 위해서,
현물과 선물을 이용한 무위험 차익거래를 하기도 합니다.
이런건 추세가 있다고 보긴 어렵고, 일별로 매매 동향이 급변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이들의 수급은 단기적인 시각을 봐야 합니다.
비슷한 성격을 가지는 거로는 사모펀드가 있습니다.
사모펀드란 비공개로 제한된 투자자를 대상으로 모집하는 펀드를
굴리는 주체를 말합니다.
비공개다 보니까 공격적으로 투자를 하는 편이고,
롱숏(A종목을 사면서, B종목을 공매도하는 형식) 등 다양한 전략을 구사해서,
수급에 일관성이 있다고 보긴 어렵습니다.
이 밖에 기타법인은 주식을 운용하는 일반 회사를,
기타금융은 주식을 굴리는 저축은행 등을 말합니다.
이번 글은 여기까지고요.
다음 글에서는 또 다른 주식 글로 돌아오겠습니다.